- 왼쪽의 물 수 (水) 자, 오른쪽의 진흙 근 (菫)이 변형된 글자가 합쳐져서 형성
- 진흙이 섞여 평야를 이루었던 양쯔강 지류의 한수라는 지형에서 유래되었다.
[문외한] : 門 (문 문) 外 (바깥 외) 漢
- 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나 조예가 없는 사람
[파렴치한] : 破(깨뜨릴 파) 廉(청렴할 렴) 恥(다스릴 치) 漢
- 수치를 모르는 사람
[한라산] : 漢 拏(붙잡을 라) 山(뫼 산)
[한강] : 漢 江(강 강)
- 위의 집 면 (宀) 자에 아래의 아들 자 (子) 자를 더한 글자
- 집에서 아이를 기른다 라는 뜻으로 양육하다, 기르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.
- 진시황 때부터 글자로 사용하기 시작
[숫자] : 數 (셀 수) 字
[적자] : 赤 (붉을 적) 字
- 결산에서 지출이 수입보다 많은 일
[십자가] : 十 (열 십) 字 架 (시렁(긴나무를 가로질러 선반처럼 만든 것) 가)
- 십자 모양의 나무로된 형틀
[일자무식] : 一 (한 일) 字 無 (없을 무) 識 (알
- 한글자도 모를 정도로 무식함.